본문 바로가기
모바일 앱

대출비교플랫폼 TOP3: 토스, 카카오페이, 핀다 / 비대면 대출조회 시대

by Kongnamu 2023. 11. 7.
반응형

복잡한 서류를 준비하지 않아도 모바일로 간편히 1분 만에 신용 및 대환대출 조회가 가능하기 때문에 대출비교플랫폼 앱이 인기인데요. 그중 가장 점유율이 높은 어플로는 핀다, 카카오페이, 토스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간략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3위 핀다(Finda)

핀다-신용-관리
핀다 제공

3위는 약 15% 시장 점유율을 기록 중인 핀다입니다. 최근 입점한 1금융권 우리은행을 포함해 총 69개 금융사의 200개 대출 상품을 1분 만에 조회가 가능합니다. 정부대출 상품인 햇살론도 조회 가능하며 온라인 원스톱 대환대출 또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주택담보대출과 사업자 대출 조회가 가능합니다.

 

 

핀다 대환대출 신청방법

 

 

최근 1금융권 신용 및 주택담보대출 상품들이 속속 입점되어 그동안 2금융권에 치우쳐있던 비중에서 벗어나 1금융권의 저금리 대출 상품 라인업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입니다. 또한, 이 밖에도 현재 보유 중인 대출 내역과 상환 예정금액 조회가 가능하며 신용정보 변동 내역도 무료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위 카카오페이

카카오페이-대출-조회
카카오페이 제공

2위는 약 20% 시장 점유율을 기록 중인 카카오페이입니다. 카카오페이의 가장 큰 장점은 카카오톡만 이용하면 별도로 앱을 설치하지 않아도 간편하게 대출조회가 가능하다는 점으로 이 때문에 많은 사용자들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카카오페이 대출조회 후기

 

 

카카오뱅크 연계 대출 상품 포함하여 총 68개 금융사 대출 상품 조회가 가능하며 정부보증 대출, 주택담보대출, 전월세대출, 자동차담보 대출 상품도 조회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신용점수 변동 내역, 대출 및 카드관리 등 신용관리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1위 토스

토스-대출-조회
토스 제공

1위는 약 50% 시장 점유율을 기록 중인 토스입니다. 카카오뱅크와 더불어 대한민국 최고의 인터넷뱅킹 양대 산맥인 토스뱅크를 함께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대출비교플랫폼입니다.

 

 

토스 온라인 대출조회 후기

 

 

1금융권인 토스뱅크에서 제공하는 연계 대출 상품 조회는 물론 하나은행 등 1금융권 사 30개 포함 총 63개 금융사의 대출 상품을 비교 및 조회할 수 있습니다. 근로자햇살론 등 정부 대출 상품을 비롯해 주택담보대출, 카드론 등 다양한 대출 플랫폼을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용점수 현황, 대출 보유 내역 등 신용관리 서비스를 무료 제공합니다. 

 

이상으로 모바일 대출비교플랫폼 3대장인 핀다, 카카오페이, 토스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았습니다. 각각의 어플마다 대출 승인 한도나 금리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잘 비교하시어 진행하시기를 추천 합니다. 


※ 이 글과 함께 읽으면 도움이 되는 포스팅

 

[함께 보기] - 정부서민금융대출 햇살론, 새희망홀씨2 대출조회 순서 및 금리 비교분석

 

정부서민금융대출 햇살론, 새희망홀씨2 대출조회 순서 및 금리 비교분석

대표 정부서민금융대출로 햇살론 유스, 근로자 햇살론, 햇살론 뱅크, 햇살론15 등 햇살론 상품과 새희망홀씨2가 있습니다. 이 상품들은 은행권 대출이 어려운 서민들을 위해 정부가 보증 및 지원

kongnamu.tistory.com

[함께 보기] - 우리은행 햇살론 뱅크: 신청자격, 비대면 신청방법, 금리 등 총 정리

 

우리은행 햇살론 뱅크: 신청자격, 비대면 신청방법, 금리 등 총 정리

햇살론 뱅크는 서민금융진흥원의 보증서 발급을 통한 정부 정책서민금융상품으로 저소득·저신용자가 대출받을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하는 대출상품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햇살론 뱅크 신

kongnamu.tistory.com

[함께 보기] - 햇살론 사기 급증, 중개 수수료 요구한다면 의심하자

 

햇살론 사기 급증, 중개 수수료 요구한다면 의심하자

햇살론은 한국 정부에서 저소득층 가구 및 소상공인을 위해 제공하는 서민 대출 상품입니다. 그러나 최근 햇살론을 이용한 사시가 급증하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입고 있는데요. 이 글에

kongnamu.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