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코로나 확진자 격리 전면해제

by Kongnamu 2023. 5. 11.
반응형

한국 정부는 2023년 5월 11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를 통해 코로나19 방역 조치로 남아있던 병원과 약국, 감염취약시설에서의 실내 마스크 착용의무와 더불어 대부분의 방역조치를 해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신속히 알아보겠습니다.

마스크-Goob-bye

 

실내·외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코로나19의 등장으로 2020년 10월 처음으로 실내 마스크 착용이 의무화되어 미 착용자에게 벌금이 부과되기도 하였는데요. 드디어 2년 7개월이 지난 오늘 병원, 약국, 감염취약시설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가 풀리면서 실내·외 마스크 착용 방역조치가 전면해제 되었습니다.

 

● 마스크 착용의무 추이

- 2020년 10월 13일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

- 2022년 9월 26일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 2023년 1월 20일 실내 마스크 착용 권고  (조건부 해제)

- 2023년 3월 20일 대중교통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 2023년 5월 11일 실내 마스크 착용 전면 해제

 

노마스크 선언과 함께 정부는 코로나 19 감영병 등급을 2급에서 4급으로 내리고 위기 단계를 심각에서 경계로 하향 조정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코로나 확진자에 대한 7일 격리 의무는 어떻게 되었을까요?

 

7일 격리 의무 해제

코로나19의 대표 방역조치였던 실내·외 마스크 의무가 2022년부터 점차적으로 해제되었음에도 보건소 pcr 검사 등을 통해 양성 판정을 받은 자는 의무적으로 7일 동안 격리해야 했는데요. 5월 11일 정부는 코로나19 확진자 7일 격리 의무조치를 5일 권고로 전면 해제한다고 발표하여 대한민국도 사실상 코로나19의 엔데믹을 선언하였습니다.

 

● 한국 코로나19 최초 확진부터 격리해제까지 역사

2020년

▶1월 20일: 코로나19 국내 1번째 확진자 확인, 감영병 경보 '주의'

▶2월 20일: 코로나19 국내 첫 사망자 발생 

▶2월 23일: 감염병 경보 '심각' 격상

▶3월 11일: WHO 팬데믹 선언

▶4월 1일: 모든 입국자 2주 자가격리 의무화

▶4월 3일: 코로나19 국내 누적 확진자 1만 명 초과

▶10월 12일: 마스크 착용 의무화

▶12월 24일: 식당 5인 이상 모임 금지

 

2021년

▶ 02월 26일: 아스트라제네카 국내 첫 코로나19 백신 접종 시작

▶ 05월 05일: 예방접종 완료자 자가격리조치 완화

▶ 10월 18일: 3차 접종 시작. 수도권 10인 모임, 운영시간제한 해제

▶12월 1일: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국내 감염자 발생

▶12월 16일: 거리두기 강화, 전국 4명까지 모임 허용

 

2022년

▶1월 26일: 접종완료자 7일, 미완료자 10일로 격리 단축

▶2월 9일: 확진자 격리 7일로 단축

▶2월 19일: 전국 사적모임 6인, 영업시간 22시로 완화

▶3월 5일: 전국 사적모임 6인, 영업시간 23시로 완화

▶3월 17일: 역대 최다 확진자, 62만 1056명 발생

▶3월 24일: 역대 최다 일일 사망자, 469명 발생

▶4월 18일: 사회적 거리두기 전면 종료

▶4월 25일: 코로나19 감염병 등급 2급 하향

▶5월 2일: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50인 이상 집회·공연·스포츠경기 유지

▶9월 26일: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 전면해제, 실내마스크 착용 의무 유지

 

2023년

▶1월 30일: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1단계 해제

▶3월 20일: 대중교통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5월 05일: WHO 코로나19 국제보건위기상황(PHEIC) 해제

▶5월 11일: 실내마스크 코로나19 확진자 격리의무 전면해제, 한국 사실상 엔데믹 선언 

 

코로나19가 앗아간 우리의 삶, 이 잔인한 경험들을 교훈 삼아 잘 대비하여 더 이상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으로 고통받지 않기를 희망합니다.

 

[함께 보면 돈이 되는 글]

"대환대출, 2023년 온라인 조회 가능!" 대환대출 플랫폼 신청자격, 이용방법

정부서민금융대출 햇살론, 새희망홀씨2 대출조회 순서 및 금리 비교분석

알뜰폰 프리티 LG U+·SKT·KT 데이터무제한 프로모션 요금제 11개 추천

2023년 알뜰폰 5천원 이하 및 데이터무제한 초저가요금제 통신사별 가격순위 추천

2023년 6월 2차 모집 서울시 '청년수당' 신청자격 및 방법: 근로활동지원금 300만원!

2023년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자격, 방법 및 혜택: 3년 1,080만원 정부 저축 지원

복리 투자법, 이자의 이자! 단리 이자 비교와 복리효과 만드는 2가지 팁

예금vs적금 이자계산 및 금리비교, 현명한 저축은? feat 이자과세

댓글